728x90
원격 저장소(git)에 로컬저장소(내컴퓨터)의 파일을 연동했는데, branch가 2개 생기는 상황
왼쪽과 같이 분명히 master에 push 했는데,
이미 default가 main이 생기는 상황이 있음.
원인은 원격저장소(git)에서 처음에 repository를 생성시 Readme.md를 같이 생성하도록 했기 때문임.
# 만약에 이미 있는 2개의 branch에서 main branch만 제거하고, master branch만 남기고 싶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수행.
setting 들어가서,
그리고 위의 "2 branches" 아이콘 클릭해서 main branch 제거하면 됨.
728x90
'Git & Git-Hub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용어 정리(commit, stage, head, master, pull, push 등) (0) | 2023.07.13 |
---|---|
Git 명령어 모음, Git 코드 정리, 간단히 한 줄 정리 (0) | 2023.07.13 |
Git 명령어(git init, git push, git remote, git pull 등) 그림 정리 (0) | 2023.07.13 |
Git & Git-Hub란? 개념 및 동작원리 설명 (0) | 2023.07.13 |
git 연동 : 원격저장소(git) <-> 로컬저장소(내컴퓨터) (0) | 2023.07.12 |